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CAU News
글자 확대축소 영역

약학대학, Jonathan V. Sweedler 교수 초빙 해외 석학 세미나 성료

관리자 2025-04-04 조회 1000

약학대학은 3월 31일 102관(약학대학 및 R&D 센터) 401호에서 Jonathan V. Sweedler 교수를 초청하여 “The chemical differences between cells in the brain: high throughput single cell characterization to unravel cell heterogeneity in health and disease”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사진설명. Sweedler 교수가 단일세포 질량분석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약학대학 교수진 10여 명과 학부생, 대학원생 등 120명은 뇌 및 여러 기관에서의 신호 전달 과정에 대한 단일세포 분석의 중요성에 대해 심도 있는 질의를 나눴다.


Jonathan V. Sweedler 교수는 UIUC(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의 화학부 교수이자 분석화학 분야 최고의 저널 중 하나인 미국화학회 ‘Analytical Chemistry Journal’의 편집장으로 13년간 활동 중인 연구자이다. Sweedler 교수는 지난 40년간 Nature, Cell을 포함해 약 500편의 논문을 저술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세미나 좌장을 맡은 약학대학 이동규 교수는 “질량분석을 이용한 고난도 single cell characterization 기술의 선구자로서 뇌 및 여러 조직의 기억 저장 및 신경 전달에 관여하는 생체분자 기전 규명에 대한 분석화학의 활용에 대한 지평을 넓혀주었다.” 며 Sweedler 교수를 소개했다.


Sweedler 교수는 'lipid, metabolites와 같은 수만 개의 생체 저분자에 대한 단일세포 분석은 뇌세포 구성 네트워크를 규명하는데 필수적인 기법’임을 강조하며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기법(MALDI;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과 단일세포 분리, 표적화 기법의 적용의 장점, 이 기법 활용이 중요한 마일스톤이 될 것임을 역설하였다.


사진설명. brain cell complexity와 chemical characterization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Sweedler 교수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약학대학 최형균 교수, 이성훈 교수 및 이동규 교수는 Sweedler 교수의 연구에 대해 “in vitro 상황의 single cell characterization과 임상의 large tissue에 대한 LC-MS 기반 대사체학의 비교”, “약학 산업에서의 single cell characterization 분석 기술 활용 방안” 등을 질문하며 Jonathan 교수의 연구를 약학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깊이 있게 토의했다.


사진설명. 강연 후 Sweedler 교수가 약학대학 이성훈 교수와 질의, 응답을 하고 있다.


세미나는 Sweedler 교수와 약학대학 교수진, 대학원생의 기념사진 촬영을 끝으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사진설명. 세미나 이후 Sweedler 교수와 약학대학 교수진, 대학원생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취재 /

Pharam 3기 지승헌(약학부 3학년)

Pharam 3기 윤시원(약학과 5학년)